반응형 IT/구글313 사진에서 날씨와 촬영 시간 변경이 가능한 3D 이미지 NeRF in the Wild AI기술 사진은 3D 세상을 2차원이라는 평면에 재현한 매체입니다. 이러다 보니 사진을 보다 보면 좀 더 옆에서 촬영했으면 좀 더 멋진 사진이 되었을 텐데라는 아쉬움이 담긴 사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2D 사진을 3D 보고 싶은 욕심도 있죠. 그래서 요즘은 2개의 후면 카메라를 장착한 스마트폰들은 2개의 카메라를 이용해서 3D 효과의 사진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앞으로는 2D 사진을 촬영해도 AI가 3D 사진으로 만들어주는 기술이 나올 수 있을 듯합니다. Neural Radiance Fields 줄여서 NeRF 기술은 2D 사진을 3D로 만들어주는 인공지능 기술입니다. 이 NeRF 기술을 좀 더 발전 시킨 NeRF in the Wild이 https://nerf-w.github.io/에 올라왔습니다. NeRF .. 2020. 8. 11. 유튜버는 광고 보다는 월정액 구독과 협찬 광고 수익이 더 늘어난다. 최근 유튜버들의 뒷광고 이슈가 터졌습니다. 한 유튜버가 광고주로부터 광고비나 협찬을 받고 만든 유튜브 영상임에도 내돈내산으로 위장해서 리뷰했다는 것을 폭로했고 이에 많은 유명 유튜버들이 사과를 했고 몇몇 유튜브는 활동을 중단했습니다. 이런 일이 처음은 아닙니다. 2011년 유명 요리 블로거가 업체의 뒷돈을 받고 제품 판매를 하는 것을 속인 사건으로 크게 이슈가 되자 공정위는 추천, 보증 등에 관한 표시 광고 지침을 만들었습니다. 블로거들의 제품 리뷰 하단에 제품을 제공 받아서 작성했다는 글이 이 법에 따른 행동입니다. 지금은 이 제도가 잘 정착이 되어서 광고주들도 협찬 제품 제공 업체도 제품 리뷰 작성 시에 제품에 단점이나 아쉬운 점을 써도 뭐라고 하지도 않습니다. 또한, 제품 협찬이라는 것을 감안해서 .. 2020. 8. 9. 구글 플레이 뮤직 2020년 12월에 종료 후 유튜브 뮤직으로 전환 세계적인 기업 구글이지만 구글이 만든 서비스가 모두 성공하는 건 아닙니다. 2011년 5월 발표된 구글 플레이 뮤직이 2020년 12월에 서비스 종료될 예정입니다. 국내에서 이 구글 플레이 뮤직 사용하는 사용자가 거의 없는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입니다. 구글 플레이 뮤직은 멜론처럼 월정액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와 함께 내가 가지고 있는 MP3 파일을 최대 5만 곡까지 업로드해서 저장할 수 있고 이 저장된 MP3 파일을 스트리밍 서비스로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점 때문에 사용하는 분들이 있었는데 앞으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네요. 구글 플레이 뮤직 유튜브 뮤직으로 통합 구글 플레이 뮤직과 유튜브 뮤직 통합은 갑자기 나온 이야기는 아니고 2년 전에 이미 통합 예정이라고 발표를 했습니다. 다만 언제 통합할지 명확.. 2020. 8. 6. 구글 소셜 동영상 쇼핑 플랫폼 샵루프( Shoploop) 발표 구글의 사내 프로젝트 그룹이었던 사내벤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Area120의 총괄 매니저인 Lax Poojary는 뉴욕 지하철을 탔습니다. 한 젊은 여성이 스마트폰으로 SNS를 살펴보다가 특정 제품을 소개한 글을 보더니 바로 유튜브를 실행해서 리뷰를 시청했습니다. 그리고 온라인 쇼핑 앱을 실행해서 제품을 구매했습니다. 하나의 제품을 사는데 SNS 앱, 유튜브, 온라인 쇼핑앱 총 3개를 사용하는 걸 지켜봤습니다. Lax Poojary는 제품을 발견, 평가, 구입을 하나의 앱에서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 이 아이디어가 실현된 것이 동영상 쇼핑 플랫폼 샵루프(Shoploop)입니다. 동영상 쇼핑 플랫폼 구글 샵루프( Shoploop) 구글 샵루프(Shoploop)는 기존 온라인 쇼핑 사이트보다 인터렉티.. 2020. 7. 17. 구글포토, 촬영장소 위치를 구글지도에 표시해 준다 싸이월드가 서비스 접는다니 거기에 올린 사진들을 백업받고 싶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그 싸이월드에 올린 사진들의 원본들은 어디에 있나요? 없으니까 싸이월드 사진을 원하는 것 아닐까요? 이렇게 우리는 사진 백업에 큰 신경을 씨지 않습니다. 우리가 촬영한 그 수 많은 사진들은 백업하지 않으면 번개 맞고 HDD가 날아가거나 어디에 보관했는지 몰라서 사라지는 사진들이 참 많습니다. 아날로그 필름 사진들은 인화라도 해서 분실 위험도 보관도 잘 하지만 디지털 사진은 촬영이 쉬운 만큼 쉽게 소비하고 쉽게 날려 버립니다. 게다가 출력도 하지 않아서 HDD가 갑자기 고장 나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아주 쉽게 사라집니다. 구글의 최고 서비스는 구글 포토가 아닐까 할 정도로 구글 포토는 최고, 최애 서비스입니다. 구글.. 2020. 6. 27. 유튜브 얼굴 모자이크 하는 방법 (자동, 수동) 많은 사람들이 초상권에 굉장히 민감합니다. 그러나 초상권은 어떤 특정한 법으로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법전을 뒤져봐도 초상권이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하지만 요즘 많은 사람들이 초상권을 외칩니다. 초상권은 법이 없다 보니 사안마다 판사의 판결이 다를 수 있고 해석하기 나름입니다. 초상권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에서 근거합니다. 여러 가지 상황을 봐야겠지만 행인을 촬영하거나 군중을 촬영하는 건 초상권 침해가 아닙니다. 특정인을 허락을 받지 않고 크게 부각하거나 오래 촬영할 경우는 초상권 침해를 받지만 그냥 지나가는 사람을 촬영하거나 군중을 촬영한 것은 초상권 침해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분란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동영상에 담긴 행인까지 모자이크 처리를 해주고 있습니다. 예능은 물론 심지어 뉴스에서도 요즘은 .. 2020. 6. 5. 유튜브 동영상 챕터 분할 기능으로 챕터 구분 및 챕터 제목 설정이 가능하다 네이버가 타도 유튜브를 외치고 동영상 서비스를 강화한다고 했지만 게임 자체가 안 될 정도로 네이버 동영상은 크리에이터들에게 편한 기술이 많지 않습니다. 반면 10년 이상 긴 역사와 막대한 자본과 뛰어난 아이디어가 많은 유튜브는 수시로 유튜버들에게 좋은 기능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동영상 챕터 분할 기능 추가 twitter.com/YouTube/status/1266051626562990082 YouTube on Twitter “0:00 We heard you and added Video Chapters. 0:30 You liked it. 1:00 Now it's official: Video Chapters are here to stay. 1:30 Creators, try Chapters by addi.. 2020. 5. 30. 구글 검색 알고리즘에 페이지 로딩 속도와 모바일 사용 편의성 기준을 추가한다 2020년 현재 국내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는 네이버입니다. 이 아성은 15년 이상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깨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구글 검색이 점점 검색 시장 점유율이 크게 오르고 있고 잘하면 몇 년 안에 구글이 유튜브와 함께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할 수 있다는 생각마저 듭니다. 구글이 검색 점유율이 크게 오른 것은 구글 검색 품질이 꾸준히 고도화를 진행해서 양질의 콘텐츠를 상단에 잘 노출해주는 뛰어난 알고리즘이 큰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반면 네이버 검색은 네이버 블로그 검색만 노출해주거나 상단에 노출시켜주는 자사 서비스 위주의 검색 결과물을 선보이면서 검색이 아닌 DB 서비스로 전락하는 느낌입니다. 제 블로그를 찾아오는 분들 중 대부분은 검색 서비스를 통해서.. 2020. 5. 29. 구글 모바일용 CPU 개발 착수. 구글 픽셀폰에 탑재할 듯 애플은 아이폰의 두뇌이자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SoC 칩을 애플의 칩을 사용합니다. 안드로이드폰들은 대부분 퀄컴의 스냅드래곤을 이용합니다. 삼성전자는 엑시노트와 스냅드래곤을 이용합니다. 아무래도 CPU 같은 시스템 반도체 제조는 진입장벽이 높아서 아무나 만들지 못합니다. 삼성전자 엑시노트도 삼성 고유의 기술이라기보다는 CPU 제조 기술이 있는 회사를 인수했습니다. LG전자도 수년 전에 잠시 안드로이드 모바일용 CPU 개발을 하려다가 발열 문제 등이 커지면서 중간에 포기를 했습니다. 이 진입장벽이 높은 시장에 구글이 모바일용 CPU 개발에 착수한다고 하네요. 구글 단독으로 개발하는 것은 아니고 삼성전자와 손ㅇ르 잡고 모바일 CPU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Whitechapel이라는 코드 네임으로 만들어지는 .. 2020. 4. 16. 구글 맵을 통한 각 나라별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 사스 발생 당시인 2002년~2003년은 한국과 중국의 교류가 많지 않았습니다. 우리에게 있어 중국 제품 중국에서 만든 제품을 접하기 시작한 것이 90년대 후반이고 2천 년 대 초반부터 경제 교류가 많아지기 시작했습니다. 당시에는 앞으로 중국이 뜨기 때문에 중국어를 배워야 한다는 말도 참 많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2020년 지금은 한국 교역국 1위가 중국입니다. 경제 협력 관계도 깊어졌지만 관광도 많이 옵니다. 중국 뿐 아니죠. 대학생들도 유럽 여행을 쉽게 갈 정도로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었고 국내 여행보다 동남아 여행이 더 쌀 정도로 해외여행이 엄청나게 늘었습니다. 이런 교류가 많다 보니 코로나 19는 단 3달 만에 전 세계에 퍼졌습니다. 만약 냉전 시대였다면 해외여행 자유화가 없었던 80년대라면 코로나1.. 2020. 4. 6. 유튜브 음악 저작권을 피하는 유튜브 스튜디오 도구 등장 유튜브가 고속 성장할 수 있는 데에는 불법 음원 소스 때문에 고속 성장을 할 수 있었습니다. 2010년 경만 해도 유튜브에는 온갖 불법 음원과 영화들이 마구잡이로 올라왔습니다. 그런 불법 음원으로 수익을 내는 유튜버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많은 음반 업체와 영화 제작사에서 유튜브가 너무 수수방관하고 있다고 지적을 넘어서 고소를 하기 시작하자 유튜브는 강력한 저작권 침해 검출 도구인 콘텐츠 ID를 만듭니다. 이 콘텐츠 ID는 저작권자가 음원이나 동영상을 등록하면 다른 유튜버가 그 음원이나 동영상을 조금이라도 사용하면 바로 저작권 경고 메일이 날아감과 동시에 광고 수익을 몽땅 원저작권자에게 줍니다. 특히 음원에 대해서는 아주 강력한 검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연의 배경이 되는 음악은 물론 불꽃놀이 배경 .. 2020. 3. 9. 2019년 유튜브가 음악 업계에 지불한 돈은 3조 5천 5백억 원 2005년 2월 14일에 서비스를 시작한 유튜브가 15년이 지난 지금 대박을 치고 있습니다. 이 유튜브를 만든 사람은 대만 출신 미국인인 '스티븐 첸'과 '채드 헐리'입니다. 이 유튜브는 만년 적자인데 이 동영상 서비스를 2006년 구글이 2조 원에 인수를 합니다. 당시는 무모하다는 소리도 있었고 한 동안 유튜브는 돈 먹는 하마였습니다. 그러나 유튜브가 서비스를 시작한지 15년이 된 지금 연간 광고 수입이 2019년 4분기만 47억 1천만 달러 (약 5조 5709억 원)이고 2019년 연간은 151억 4900만 달러 (약 17조 9200억 원)의 광고 수익을 얻었습니다. 그런데 이 광고 수익의 일정 부분은 음반, 음원 업계가 가져갑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유튜브는 강력한 콘텐츠 ID 제도를 운영하고.. 2020. 2. 17. 이전 1 2 3 4 5 6 7 8 ··· 2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