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삼성 (122)
사진은 권력이다

일본을 보면 이 나라는 국민이 아니라 백성이 사는 나라라고 생각이 납니다. 민주주의 국가라면 정부나 지도자가 잘못하면 시위를 해서 자신들의 의견을 담은 민심을 전달해야 하는데 시위가 없습니다. 그냥 나라님 하는 일을 그냥 믿고 따릅니다. 그럼에도 코로나19 사태를 올림픽 때문에 방치하고 천 마스크 2장 배포나 코로나19 사태에 대해서 자신은 책임질 것이 없다는 말을 하는 등 지지율이 급락하자 결국은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그러나 나온 사람은 100명 도 안 됩니다. 한국처럼 수백만 명이 광화문 일대에 모여서 촛불 시위를 하는 모습은 일본에서 상상할 수 없습니다. 이런 모습은 일본 뿐이 아닙니다. 한국처럼 100만 명 이상이 모이는 것도 어렵지만 질서 정연하게 시위를 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코로나19를 ..
스마트폰 시장이 고도화 되면서 PC 시장처럼 많은 브랜드들이 난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브랜드의 활약이 요즘 눈에 많이 들어오네요. 시장 조사 기관인 IDC가 2018년 2분기 스마트폰 세계 시장 점유율을 발표했습니다. 2018년 2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IDC 발표에 따르면 2018년 2분기 스마트폰 출하 대수 1위는 7150만대를 출하한 삼성 갤럭시S9/S9+입니다. 전작들 보다 인기가 없어서 할인 판매를 하고 있지만 시장 점유율은 20.9%로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게 판매대수가 아닌 생산대수라서 정확하게 판매량이라고 할 수 없지만 생산대수가 판매량으로 이어지기에 판매량으로 봐도 무방합니다. 다만 안 팔리면 큰 할인을 해서 밀어내기 때문에 판매량은 비슷하지만 영업이익은 떨어질 ..
그러고 보면 입력 장치는 참 변하지 않아요. 80년대에 나온 아니 그 이전에 나온 이 키보드와 마우스라는 입력도구는 수 많은 대체제가 나오지만 여전히 부동의 입력장치의 제왕으로 군림하고 있습니다. 가끔 SF영화에서도 키보드로 입력하는 모습을 보면서 저 27세기 우주선이 빛의 속도로 다니는 시대에도 키보드라는 20세기 유물을 쓸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러나 딱히 다른 대체제가 떠오르지도 않습니다. 뇌파로 입력을 할 수 있지만 생각의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 쉽지도 않고 입력을 하더라도 뭔가 글씨를 떠올려야 하기 때문에 그런 시간에 그냥 키보드로 타타탁 입력하는 것이 더 빠를 것 같습니다이 키보드가 수십 년을 살아 남은 이유는 아마도 뛰어난 효용성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그러나 이 키보드는 PC나 노트북 심..
하나의 영화는 영화관 안 스크린에서 보여지는 것과 함께 영화관 밖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모두 살펴야 합니다. 특히 민감한 사안을 다루거나 시사성있는 사회 비판적인 영화는 더더욱 영화 자체로만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 영화를 보는 행위 자체가 자신의 행동을 드러내기 때문입니다. 반공 영화를 보러가는 행위는 내가 반공주의자임을 드러내는 것이고 쿼어 영화를 보는 것은 내가 성 소수자를 지지한다는 행동이기도 합니다. 예술 영화를 자주 많이 보는 사람은 예술 영화를 지지하고 좋아한다는 행위이죠. 영화 '변호인'은 그 영화 자체로만 이루어진 영화가 아니였습니다. 영화를 보는 행위 자체가 고인이 된 노무현 전 대통령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의 행동이기도 했으니까요. 이렇게 내가 어떤 영화를 선택하는 행위는 내 성향을 ..
한국 영화의 양적 팽창과 물적 팽창은 작년 1억명 관객 돌파라는 어마 어마한 기록을 만들어 냈습니다. 영화 매니아의 한 사람으로 그 모습에 흐뭇 해겠냐고요?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영화의 질적 하락에 짜증만 나네요. 솔직히, 요즘 한국 영화 보고 카타르시스를 느낀 영화가 거의 없습니다. 1천만 돌파를 한 한국 영화가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이제는 1천만 돌파 했다고 무조건 좋은 영화라고 하기도 힘들어졌습니다. 그냥 대충 웃음 반, 감동 반 버무려서 롯데리아 햄버거처럼 표준화 된 맛이 있는 기획 영화들이 난무합니다.어디서 많이 본 이야기에 어디서 많이 본 장면을 배우만 바꿔서 나온다는 느낌도 강합니다. 창의성은 사라지고 예고편만 보고도 대충 어떤 영화이고 어떤 스토리겠구나 하는 기승전결이 다 예상되는 영화들..
최재영 사진작가는 중앙일보, 동아일보에서 35년 간 사진기자로 일하면서 찍은 대통령들의 사진을 모아서 라는 전시회를 9월 28일까지 안국동 갤러리 아트링크에서 전시하고 있습니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가장먼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얼굴이 보입니다. 얼굴은 얼굴이지만 실제 얼굴보다 큰 거대한 얼굴입니다. 이 거대한 얼굴은 바로 88올림픽 전에 있었던 국군의 날 행사에 선보인 거대한 카드 섹션이었습니다.카드색션, 외국에서는 인간픽셀이라고 하는 이 카드색션은 지난 80년대에는 아주 자주 볼 수 있는 풍경이었습니다. 노동집약적이고 원시적인 그러나 그 어떤 것 보다 단결력을 요구하는 이 집단체조는 어린시절 저에게 생경스럽고 아름답게 느껴졌습니다. 또한 저 카드 섹션을 완성하기 위해 수 개월간 노력했을 사람들의 노고에도..
다른 부분은 모르겠지만 카메라 부분은 일본을 따라 갈 수 없습니다 LCD나 스마트폰과 디지털TV는 일본이라는 스승을 뛰어넘어서 일본 가전회사들이 무릎을 꿇게 하고 있지만 카메라 부분은 한국이 일본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니 그 어떤 나라도 일본이라는 카메라 제조 강국에 도전을 하지 못합니다 독일의 라이카나 미국의 코닥이 있긴 하지만 디지털 시대로 넘어오면서 일본의 카메라 제조업체에 도전할 회사는 거의 없습니다 전 삼성 카메라를 참 묘하게 바라봅니다. 80년대 미놀타와 손잡고 삼성 미놀타라고 해서 합작품을 만들었고 그때 미놀타의 노하우와 기술을 전수 받아서 카메라 시장을 개척했던 삼성, 당시 80년대는 삼성은 삼성항공인가? 삼성정밀인가 아니면 삼성항공정밀이라는 회사에서 캐녹스라는 제품을 만들었습니다..
예전에는 정신대라고 했었습니다. 지금은 일본군 위안부라는 말로 바뀌었지요. 80년대 인기 드라마였던 '여명의 눈동자'는 엄청난 히트를 친 드라마였습니다. 해외 로케를 하면서 기존에 국내 드라마에서 볼 수 없었던 방대한 스케일과 대서사가 펼쳐지는 이야기는 고등학생인 저를 푹 빠지게 했죠 여명의 눈동자에서 여옥이 바로 일본군 위안부로 나오는 장면은 고개를 돌리고 싶을 정도였습니다. 일본이라는 나라는 결코 우리가 가까이 할 수 없는 나라입니다. 일본인 한명 한명을 보면 참 순하고 착해 보이지만 중국이나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도 대의를 위해서 개인의 희생정도는 아무렇지도 않다고 생각하는 주의가 많아서인지 엄청난 만행을 저지르고도 국익을 위해서인지 반성조차 안하고 그 만행을 인정조차 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