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51

9백억짜리 진짜 해골 Damien Hirst가 만든 이 해골은 가격이 98백만 달러(한화 약 900억)이다. 18세기 남자의 해골에 8,601개의 다이아몬드와 정수리에 큰 핑크다이아몬드 (가격이 73억원) 가 있다. 이 작품으로 인해 hirst는 윤리적인 문제에 휩싸이기도 했다. 그리고 저 해골의 치아는 진짜다. 자세히 보면 치아 하나가 없는게 보이는데 작가는 금이빨로 대처할려다가 그냥 나두기로 했다 2007. 6. 2.
닌텐도 WII 에 LCD모니터 설치 닌텐도 WII을 해킹해서 저렇게 LCD모티터를 달아서 파네요. 중국에서 파나본데 간단하게 이용하고 싶을때 들고다니면서 저렇게 겜을 할수 있겠습니다. PSP와 같이 밧데리가 있는것이 아니여서 실내에서 전기콘센트에 꽂아서 써야하는 불편합은 있지만요 궁금하신분들은 http://pega.manufacturer.globalsources.com/si/6008809833083/pdtl/Video-game/1003183654/Wii-Display.htm 가시면 있습니다. 2007. 6. 2.
꿈도 공유가 되나요?(영화 파프리카 감상기) 어렸을 적에 신기한 꿈을 경험했다. 꿈을 꾸면서 어느 순간 이게 꿈이구나 느낄 때가 있다. 꿈이 꿈임을 알게되는 자각몽(루시드 드림)을 꾸게 되면 그때부터 그 꿈의 세계는 내가 신이 된다 소위 게임으로 말하는 GT월드가 된다. 그렇다고 내가 경험하지 못한 것을 할 수 있는 꿈은 아니다 난 그 당시 자동차를 몰지 못했고 수영을 하지 못한다. 그래서 자각몽이라도 경험하지 못하면 꿈에서 행할 수 없다. 그런 꿈을 꾸고 다음날 나의 꿈을 공유하고자 친구들하고 얘기를 하면 그런 자각몽을 꾼 적이 없다는 친구의 말. 그리고 우리들 수다 중에 어제 내가꾼 꿈 얘기는 필수요소다. 그곳에서 이 영화는 시작한다. 꿈을 공유할 수 있다면?? 내가 꾸는 꿈속에 친구가 들어올 수 있다면 아니 둘의 꿈이 연결되어 하나의 꿈이 될.. 2007. 6. 2.
버드 스트라이크 사진(비행기가 가장 무서워하는 건 새) 비행장에는 철새들이나 텃새들과 전쟁을 1년내내 합니다. 비행기 이착륙시 새가 저렇게 비행기에 부딪히거나 비행기 엔진에 들어가면 추락의 위험이 크죠. 그래서 새만 전문적으로 내 쫒는 직업도 있습니다. 군비행장에는 자동차로 엽총으로 위협을 하여 새들을 내 쫒고 있지만 여간 어려운게 아니라고 하네요. 2007. 6. 2.
구글 스트리트뷰(street view) 촬영장비 이게 바로 구글 스트리트 뷰를 만드는 촬영장비입니다. 저 둥그런 공 모양의 카메라가 360도를 다 촬영한다고 하네요. 촬영장면과 장비 설명은 http://www.immersivemedia.com/demo/demo.php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글은 이 회사 말고도 여러 지도제작회사와 계약을 맺어 방대한 지구를 촬영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구글은 또한 저 Immersive Media보다 더 좋은 성능의 구글 차량 와 장비로 직접 촬영을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어떤 분들은 이제 해외여행 갈 필요 없겠다고 호들갑이지만 여행은 거기에 그게 있음을 확인하러 즉 파리에 에펠탑이 있구나 하는 확인작업이 아니죠. 그들의 전체적인 문화와 분위기를 배우고 느끼러 가는것이죠. 하여튼 여행 좋아하시는 분들은 길 헤맬필.. 2007. 6. 2.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텐트(휴가지에서 밤에도 환하게 보내세요) 6월입니다. 이젠 서서히 휴가철이 다가올 것이며 들로 산으로 바다로 휴가 및 여행을 떠날 것입니다 어디를 가던 텐트가 필요할 때가 많죠. 저도 친구들과 여름휴가를 가면 낮에는 즐겁게 지내지만 밤만돠면 플래시나 랜턴들을 텐트 위에 걸고 고스톱을 치던 기억이 나는군요. 그 렌턴의 건전지 값도 무시 못하고 건전지가 다 달기라고 하면 텐트생활을 암흑의 불편함에 짜증이 나죠. 이 텐트는 그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낮에 따사로운 여름 햇볕의 태양에너지를 축척하여 밤에 활용할 수 있는 텐트입니다 이런 LED램프가 밤의 8시간 동안 밝혀줄 것입니다. 가격은 $230달러입니다. 우리 돈으로 21만 원 정도네요 ^^ 2007. 6. 1.
강남공화국 그 탄생이전의 모습들과 현재의 모습들 위 사진출처는 오마이 뉴스 전대원 기자님이 찍으신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서울공화국이라고 합니다. 혹은 강남공화국라고도 하죠. 전 국민의 반이상이 서울, 경기에 살며 온갖 좋은 것들은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 있습니다. 그나마 요즘은 부심권을 많이 개발해서 굳이 서울에서도 중심인 종로에 갈 일이 없어졌지만 80년대만 해도 좋은 영화(대부분 1년 이상 있다가 미국에서 수입한 영화들) 보려면 서울 종로에 가야 볼 수 있었습니다. 스타워즈 3 제다이의 귀환을 미국보다 2년 뒤에 개봉해도 서울 종로에 가야 가장 먼 조 볼 수 있었습니다. 서울 변두리에 살았던 저는 3류 동시 개봉관에서 개봉하길 기다리거나 종로로 가야 했습니다. 종로에 온갖 좋은 것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전 영화를 좋아했는데 영화 한 편 보려고 하면 .. 2007. 6. 1.
WII게임기 콘트롤러에 음성인식칩 들어있다. 요즘 한참 미국에서 닌텐도의 WII게임기의 열풍은 대단합니다. 그 획기적인 컨트롤러는 사람들을 열광시키기에 충분한것이죠. 그런 컨트롤러 안을 분해해보니 음성인식 혹은 네이게이션에 쓰는 보이스 칩이 내장되어 있는걸 볼수 있습니다. 아직까진 여기에 맞는 게임이 발매가 되지 않았으나 이 칩을 활용하여 음성안내 혹은 음성인식을 할수 있어 게임을 진행할수도 있을것 같네요. 닌텐도 DS에서 강아지 키우는것이나 두뇌트레이닝은 지금 음성인식으로 게임을 진행할수 있죠 가격도 착한 WII 우리나라엔 언제쯤 발매될지 궁금하네요. 2007. 6. 1.
패리스 힐튼 감옥가기 5일전 모습 몇일전에 국내에서 조사한 여론조사에서 가장 공주같은 삶을 살고 있는 연예인으로 뽑힌 패리스 힐튼 앞으로 5일후면 감옥에서 보내게 되겠군요 45일정도 수감되어야 하나 지금 감옥에 죄수들이 많어 22일정도로 감형되었다고 하더군요. 22일도 공주같이 자란 패리스힐튼에겐 엄청나게 긴 시간일수도 있습니다. 힐튼의 친구인 리콜리치가 말하길 힐튼은 지금 걱정속에 지내고 있다고 한다. (전혀 그래보이지 않은데) 이곳이 바로 힐튼이 있어야할 감옥안 사진이다. 칸막이도 없고 참 난감하겠다. 2007. 6. 1.
노키아에서 출시한 하이엔드급 폰 8600 Luna 전세계 휴대폰 생산과 매출 1위인 노키아가 다시 국내 진출을 선언했었죠아래의 노키아폰은 최근에 발매된 하이엔드급 8600 Luna 란 제품입니다.전체적으로 외관은 섹시한 모습이고 스테인레스재질로 케이스를 만들었습니다. 숫자 키패드는 조명으로 켜지며 약간 불투명의 유리로 보호되어 있습니다.요즘 유행하는 터치패드같은 기능은 없고 2백만화소의 카메라와 MP3청취기능과 블루투스기능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니 국내에서 쫄딱 망하지 않나 생각도 드네요.우리나라에서 1년이전에 유행하던 폰의 성능에 디자인은 세련되어 보이나 초콜릿폰에 비한다면 어설퍼 보이고 ^^ 2007. 6. 1.
안습!! 한국에서 야후라는 이름으로 장사한다는것은 사장님 목 마르시죠~~~ 많이 드세요 인터넷 초창기 전국에 모뎀소리 찌~~~징 거릴때 검색1위 알타비스타가 모기업의 삽질로 인해 사라져갈때 야후는 코리아에서 엄청나게 크고 있었다. 그당시 야후코리아 직원들은 스톡옵션의 대박으로 신문에 대서특필되었구 모두들 부러워 하고 있었다. 너도 나도 야후성공스토리에 벤처에 뛰어 들기 시작할떄가 아마 98년 전후였던것 같다. 녹색입을 입고 다시 태어난 네이버와 다음의 한메일이란 써비스를 도입해 전국민에게 이메일을 만들어주던 다음 이 두 거대 공룡인터넷 기업에 의해 야후는 서서히 내려가더니 3위 자리를 몇년쨰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네이버의 지식검색과 블로그 다음의 한메일과 카페 하지만 야후는??? 야후는 도데체 야후만이 제공한다는 써비스가 없다. 그나마 야후꾸러기는 조.. 2007. 6. 1.
햄스터가 종이를 파쇄해드립니다. 회사에서는 파쇄기가 많이 있지만 집에서는 종이찢어서 버릴떄 불편하셨죠. 걱정마세요. 햄스터가 직접 동력을 일으켜 종이를 파쇄해드립니다. 햄스터가 쳇바퀴에 올라가 직접 종이를 갈아드립니다. 단 햄스터가 피곤해하거나 잠을 잘때는 바깥에 달려있는 핸들로 직접 돌려서 파쇄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건 제품은 아니구요 이태리의 작가의 작품이라고 하네요 ^^ 2007.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