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모자이크 (17)
사진은 권력이다

네이버의 핵심 서비스 중 하나인 네이버 블로그와 카카오가 점점 천대시하는 티스토리 블로그. 두 블로그 서비스는 경쟁 상대인 듯 하지만 요즘은 경쟁상대라고 하기엔 애매한 면이 생겼습니다. 먼저 네이버는 검색 결과에 네이버 블로그 우선시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고 이를 한 2년 이상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정확하게 5월 24일부터 2년 전처럼 네이버 블로그 검색 우선시 정책을 폐기했는지 다시 티스토리 블로그 글 노출도 많아졌습니다. 제 블로그가 3년 전만 해도 하루에 1만 5천명씩 꼬박꼬박 오다가 2년 전부터 서서히 네이버 검색 상위에서 사라지기 시작해서 지난 5월 초까지만 해도 하루 4천 명까지 방문객이 3분의 1로 떨어졌습니다. 제가 열정 없어서 그랬다고 하기엔 전 오히려 블로그 운영에 들어가는 ..
포토샵을 넘어서 동영상 편집 기술을 배우는 분들이 늘었습니다. 그러나 이미지 편집보다 동영상 편집 기술을 배우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동영상편집을 하려면 무료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이 거의 없습니다. 이러다 보니 불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기능이 아주 약한 동영상 편집 기능만 있는 무료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프로들이나 인기 유튜버가 아니면 동영상 이어 붙이기와 간단한 자막 그리고 사람 얼굴을 모자이크 처리해주는 기능 정도만 있으면 됩니다. 그러나 이런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없습니다. 아니 있습니다. 세계적인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의 수정 및 편집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사람 얼굴을 자동으로 모자이크 처리해주는 유튜브의 새로운 기능여행을 동영상으로 기록한 영상에는 불특정 다수의 얼굴이 ..
영화를 보면 주인공이 저길 확대해봐!라고 하면 그 부분을 확대해서 보여줍니다. 그런데 이거 거짓입니다. 우리가 보는 CCTV 화면을 확대하면 고해상도 영상이 아니면 확대해도 선명하게 보이지 않고 픽셀이 보이는 모자이크 형태로 보입니다. 그러나 영화적 허용을 통해서 주밍을 해도 깨끗하게 보이죠. 아니면 주밍을 한 화면이 모자이크처럼 보이면 엔터 한 번 치면 선명해지게 보이는 모습을 볼 수 있죠. 그러나 이런 기술은 아직 구현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어려운 기술을 구글이 선보였습니다. 딥러닝으로 모자이크 이미지를 복원해주는 구글 브레인 기술 작년 최대의 기술 이슈는 알파고를 통한 딥러닝 기술입니다. 이 딥러닝은 기계 학습과 연계 된 기술로 흔히 인공지능(A.I)라고 불립니다. 이 딥러닝 기술은 인간의 뇌..
한국은 보기 드물지만 유럽의 호텔이나 아랍의 모스크 같은 곳에 가면 다양한 패턴의 바닥을 볼 수 있습니다. 독일 사진가인 Sebastien Erras는 여러나라의 다양한 패턴을 가진 바닥 무늬만 사진으로 찍어서 시리즈로 만드는 사진가입니다.파리, 바르셀로나에 이어서 이번에는 런던의 성당과 호텔 바닥의 다양한 패턴을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영국 은행 Pepito 바 일렉트로닉 디너 히스파니아 '카페 Kupp LEscargot Nunhead Green The Peasant 워링턴 호텔 더 많은 사진과 시리즈는 https://www.pixartprinting.co.uk/content/london-floors/ 에서 볼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동영상 콘텐츠를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인기 동영상 콘텐츠 생산자는 큰 수익을 벌고 있습니다. 이렇게 동영상 제작에 관심이 많지만 정작 동영상 이어 붙이기도 제대로 못하는 분들이 참 많죠. 또한,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유료라서 쉽게 사용하지 못하는 것도 있습니다.그러나 유튜브를 이용하면 이런 고민이 거의 다 사라집니다. 유튜브는 상업용 동영상 프로그램인 소니 베가스나 아도비 프리미어 보다는 못하지만 여러가지 편집과 특수효과 기능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유튜브가 그토록 원하고 바라던 모자이크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제가 소니 베가스를 이용해서 동영상을 이어 붙이고 자막을 붙입니다. 그런데 특정 인물을 모자이크 처리하는 것이 무척 어렵습니다. 그래서 아예 동영상 촬영할 때..
이미지나 사진을 이모티콘을 이용한 모자이크 이미지로 만들어주는 서비스가 image2emoji입니다. 이게 무슨 효용이 있을까 잠시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emoji(이게 뭐지!)라고 했나 봅니다. 그 그러나 평범한 모자이크 이미지 보다는 우리가 쓰는 다양한 이모티콘이나 특수문자를 이용한 모자이크라서 좀 더 친숙해 보이네요http://www.image2emoji.com/ 에 접속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도 아주 쉽습니다. http://www.image2emoji.com/에서 모자이크로 변환할 사진을 업로드하고 기다리면 위 이미지처럼 오른쪽에 모자이크로 만든 이미지를 만들어줍니다.copy emojis는 클립 보드에 저장하는 기능이고 view images는 변환 전과 변환 후 이미지를 모두 보여줍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