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류라고해서 한국의 드라마가 아시아를 휩쓸때 한류의 한축을 담당했던것이 한국의 사극들입니다.
미국이나 일본의 드라마강국에 비해 한국은 사극비율이 무척 높습니다. 한때는 방영하는 드라마 절반 이상이 사극이었을때도 있었죠.
어렸을때 기억으로는 아버지가 사극을 틀어놓고 있으면 짜증내는 목소리를 많이 냈더너 기억이 나네요.
사극하면 고리타분하고 재미도 없어서 투정부렸던 기억들, 그러나 몇몇 작품들은 아직도 기억납니다. 80년대 대히트한 MBC의 조선왕조 5백년 그중 임진왜란편은 정말 흥미로웠습니다.
사극은 최근들어서 고리타분하고 뻔하고 재미도 없는 칼싸움질이라는 비판을 넘어서 영화를 능가하는 비쥬얼로 사극에 별 관심없는 사람들도 TV앞에 모셔놓게 됩니다. 태왕사신기나 선덕여왕 같은 사극은 영화이상의 비쥬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극을 보면서 항상 의문이 들었던것은 왜 사극에는 머리가 치렁치렁한 남자들만 나올까?
저 시대에는 대머리가 없었나? 라는 의문이 들곤 합니다. 최근들어 역사적 고증을 철저히 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머리에 대한 고증은 잘 하지 않는듯 합니다.
뭐 태왕사신기같이 팩션이 또 하나의 트랜드라서 사극의 주인공이 대머리라면 (현대물에서도) 좀 많이 깨겠죠.
지금까지 수많은 드라마를 봤지만 대머리 주인공은 한번도 보지 못했습니다. 대머리라고 해도 주인공의 주변인들중 코믹캐릭터 뿐이였구요.
사극에서 대머리는 스님들이 대부분입니다 사실 스님들은 대머리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죠. 일부러 머리를 깍은사람하고 빠진사람하고는 차이가 있으니까요. 그렇다면 정말로 우리 조상들은 대머리가 없었나? 그건 아닙니다.
대머리는 모든 인류의 공통적인 노화현상의 하나입니다. 유럽인들이 전체인구중 20%가 탈모인구라고 하고 한국도 많은 사람들이 탈모와 대머리로 고민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도 대머리가 유럽인들 보다는 적지만 많았다는 것인데요. 사극에서는 한명도 못본것 같습니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면 사극특유의 복장때문에 대머리를 감추는것이 있을것 입니다.
조선시대라면 갓을 쓰고 다녀서 대머리인지 알수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주몽과 같은 드라마에서는 두건만 두르고 머리를 질끈 묶습니다
비쥬얼때문에 대머리 캐릭터를 없앤듯 합니다. 또 하나는 탈모가 시작되는 30대초나 중반 이후 (지금은 20대 탈모환자도 많지만) 가 되기전에 죽는다는 것입니다. 조선시대 평균수명이 24세 임금의 평균수명이 47세라고 하는데
24세 이전에 대머리가 될리 만무합니다. 그리고 사극의 주인공들도 나이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대적시점에서 재해석해야 하기때문에 나이 맞게 보이게 분장하기도 하죠.
사극열풍이다 보니 어린 학생들이 사극을 보고 우리나라 조상들 멋진옷입고 깨끗하게 살았구나 그리고 대머리도 없었구 라는 이상한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이라는 프랑스 고고학자 에밀 부르
다레가 1900년대 초의 서울과 한국의 대한제국 말기의 모습을 담은 기행문을 읽고 있는데 묘사하는 내용이 지금의프리카를 연상시킬정도로 추레하고 가난하고 냄새나고 미개한 모습으로 담고 있습니다.
유럽인들의 어쩔수 없는 거만한 시선이 많지만 그래도 1백년전 우리 조상들은 정말 지지리도 못살았습니다.
그런데 사극만 보면 아주 살기 좋은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거기에 매일 목욕을 하는지 얼굴도 아주 깨끗하죠. 꼭 현실을 있는 그대로 담아야 한다는것은 아닙니다. 그렇게 하면 오히려 시청자들이 항의 하겠죠. 다만 너무 비쥬얼만 신경쓰다가 역사적인 현실을 왜곡하는 모습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조바심도 있습니다.
거기에 매일 목욕을 하는지 얼굴도 아주 깨끗하죠. 꼭 현실을 있는 그대로 담아야 한다는것은 아닙니다. 그렇게 하면 오히려 시청자들이 항의 하겠죠. 다만 너무 비쥬얼만 신경쓰다가 역사적인 현실을 왜곡하는 모습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조바심도 있습니다.
요즘 선덕여왕보면 조선시대보다 1천년전 국가인데 조선이 신라 이전국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정도입니다.
조선이 폐쇄적인 국가이고 신라가 소통하는 국가라도 해도 시대의 역전현상까지 보이는듯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