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메라사진/사진전시회

몰염치의 세상 염치를 가진 다큐 사진전 잠의 송(頌)

by 썬도그 2016. 6. 28.
반응형

서촌이 인기 있기 전부터 서촌의 터줏대감이었던 사진 갤러리 류가헌을 들렸습니다. 


어떤 전시회가 열린다고 해서 가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들렸다가 좋은 사진전을 보고 나오는 습관이죠. 지난 주 토요일에는 정택용 사진전인 '잠의 송(頌)' 사진전을 하네요. 송이라는 한자는 기릴 송이네요. 잠을 기리다?

부제를 보니 고공부터 농성천막까지 우리 시대의 '한뎃잠'들이라고 써 있네요. 사회다큐 사진전인가 봅니다. 



이런 사회 다큐는 서문을 읽어 봐야 합니다. 사진만 가지고 그 사진이 무엇을 담은 건지 어떤 맥락인지 알기 힘들죠. 그래서 어떤 상황이고 어떤 상태인지를 서문을 통해서 읽어 보는 것이 좋죠. 

예술 사진들은 주례사 같은 현학적인 서문이라서 대충 읽거나 사진을 다 보고 읽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 다큐는 메시지 전달이 중요하기에 서문에 메시지를 명확하게 담고 있습니다. 



잠의 송 전시명은 루쉰의 풍자문 '밤의 송'에서 밤을 잠으로 바꾼 것이네요. 잠을 기릴 수 없는 사람들의 불편한 현실을 카메라에 담은 사진전이네요.


문을 열고 들어가 봤습니다. 전국 수많은 곳의 농성장을 찾아가 그들의 농성 현장과 잠을 기록했습니다.


새벽 세 시, 
고공 크레인 위에서 바라본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1백여 일을 고공 크레인 위에서 홀로 싸우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의 이야기를 접했습니다. 
그리고 생각했습니다. 올 가을에는 외롭다는 말을 아껴야겠다구요

진짜 고독한 사람들은 쉽게 외롭다는 말하지 못합니다. 조용히 외로운 싸움을 계속하는 사람들은 쉽게 그 외로움을 투정하지 않습니다. 

지금도 어딘가에 계시겠죠?
마치 고공 크레인 위에 혼자 있는 것 같은 느낌. 이 세상에 겨우 겨우 매달려 있는 것 같은 기분으로 지난 하루 버틴 분들, 제 목소리, 들리세요? 저 FM 영화음악의 정은임입니다.

<2003년 10월 22일 정은임의 FM 영화음악 오프닝 멘트>

시사 보도 라디오 DJ도 아닙니다. 영화 음악 DJ의 오프닝 멘트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고 있습니다. 
영화라는 것이 현실의 도피처이고 판타지이지만 그 근간은 현실입니다. 요즘은 뉴스보다 현실을 더 올곧게 담는 모습에 영화가 언론이 되어 버린 느낌도 많이 드네요. 

언론이 자기 역할을 못할 때 비언론인들이 언론 역할을 하게 됩니다. 김진숙 지도위원이 고공농성을 마치고 골리앗 크레인에서 내려오고 있습니다. 


정택용 사진전은 이 고공 농성 현장을 담은 사진들이 대부분입니다



최근 사진도 있고 10년이 지난 사진도 있습니다. 이 사진들을 보면서 왜 우리는 농성을 하면 높은 곳으로 올라갈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마 그건 낮은 곳에서 농성을 하면 사람들이 보지 않기 때문 아닐까요?

시위라는 것이 그렇습니다. 내 목소리를 널리 멀리 알려야 시위의 효과가 더 커지죠. 그래서 많은 시위들이 도심에서 합니다. 주목 효과가 크니까요. 마찬가지로 높은 곳에 올라가면 주목 효과가 큽니다. 특히, 중과부적으로 어려운 싸움이 될 때 높은 곳에서 시위를 합니다. 


국가인권위원회  건물에는 거대한 광고판이 있습니다. 그 광고판 위에는 노동자가 시위를 하고 있습니다. 저도 서울시청에 들렸다가 몇 번을 봤습니다. 이 분들이 목숨을 걸고 고공 농성을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자신의 목소리가 세상에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죠.

언론이 자기 역할을 하고 이런 분들의 하소연을 잘 반영한다면 이런 위험한 시위는 좀 더 줄어들 것입니다.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겠죠

"시위할 시간에 다른 직장 알아 보는 게 더 현명하지 않아?"

이게 현명한 생각이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꽤 많습니다. 아니 대부분은 그렇게 생각하죠.  그런데 말이죠. 이런 분들이 부당함에 저항하기 때문에 다른 수 많은 노동자들이 작게나마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것입니다. 경영자 입장에서 문자로 해고 했다가 수년 간 저항하는 기륭전자 시위를 보고 덜컥 겁을 먹게 됩니다.




정작 기륭전자 해고자들에게는 수년 간 고통의 세월을 겪기만 했습니다. 한 편으로는 한국과 미국과 일본은 노동 유연성이 높아서 쉽게 해고 하지만 반대로 쉽게 고용 되기도 합니다. 

분명, 양쪽의 목소리가 존재할 것입니다. 기업가의 목소리, 노동자의 목소리 모두 존재하지만 이 노동 문제가 일반인들에게 다가오는 이미지는 시위 현장의 사진만 덩그러이 놓여 있습니다. 자초지종은 안 보이고 이미지만 다가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진의 맹점이 그겁니다. 이 이미지만 봐서는 저 시위가 왜 일어났는지 알 수 없습니다. 사회 운동에 관심이 많고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나 이 사진 한 장 한 장이 마음에 와 닿지. 보통 사람들은 시위를 했구나 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언론이 사진과 함께 기사로 많이 알려야 하는데 우리 언론들이 어디 그럽니까? 광고 때문에 기업가 입장만 전하거나 그냥 모른척하죠.  돈 되는 연예인 사진만 잔뜩 올리고요. 이는 포털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도 이렇게 사진으로 노동 시위 현장을 기록하는 현장 다큐멘터리 사진가들이 이 분들을 기억하게 합니다.
시위 현장에서 쪽잠을 자는 분들의 고통은 순응하면서 사는 사람들은 모릅니다.

요즘은 "넌 왜 나처럼 순응하고 살지 쓰잘덱 없이 저항하냐"고 타박하는 세상입니다. 순응하는 게 자랑인 줄 아는 사람들이 있죠. 염치가 사라진 세상에 도둑이 왜 도둑질 당하냐며 피해자를 비난하는 세상이 되었네요. 

몰염치의 세상 염치를 가진 분들이 저항하는 사람들을 카메라에 담고 있습니다. 다큐 사진가들을 그래서 존경합니다. 이분들이 진정한 이타주의자들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