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댓글부대>라는 제목만 보고 떠오른 이미지는 그 유명한 국정원의 댓글 조작 사건이 떠올랐습니다. 기억에서 희미해지고 있지만 2009년부터 2012년 대선까지 이명박 정부는 대선 승리를 위해서 국정원과 국방부를 이용해서 여론 조작을 시도합니다. 국가 세금을 이용해서 직원들과 외주팀까지 동원해서 국내 주요 포털과 대형 커뮤니티에 침투해서 당시 보수 정권에 유리한 댓글을 달고 여론을 조작하는 짓을 한다? 천인공노할 사건이었죠.
실제로 이 <댓글부대>는 이 국정원 & 국방부 소속 직원들이 만든 여론 조작 사건을 다룬 영화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 영화 제목만 <댓글부대>이고 실제는 그런 내용이 아니네요.
최대한 아무 정보 없이 보는 것이 가장 재미있게 볼 수 있는 <댓글부대>
<댓글부대>는 아무 정보 없이 보는 것이 가장 재미있게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예고편도 리뷰도 안 읽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이 영화 볼만하냐? 그냥저냥 볼만합니다. 스토리가 주는 재미가 90% 이상이라서 볼만은 한데 추천하기에도 안 하기도 애매한 점이 있네요.
추천한다면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사실에 거짓을 섞으면 더 진짜 같은 이야기가 된다"라는 대사처럼 이 영화는 사실과 거짓을 마구 섞어서 관객을 혼동스럽게 합니다. 영화는 시작하면서 촛불 시위 장면을 보여주면서 이 촛불을 최초로 들고 촛불 시위를 처음 시작한 사람이 90년대 초 PC 통신을 하던 '산 넘고 물 건너' 여행 커뮤니티를 운영하던 아이디 '앙마'를 사용하는 중학생이라는 소리로 시작합니다. 앙마가 촛불을 든 이유는 당시 거대 기업이 PC 통신을 장악하면서 무료였던 PC 통신이 유료로 전환이 됩니다.
실제로 90년대 초 중반 언제쯤 유선 전화는 전화 사용 시간에 상관없이 가격이 동일했습니다. 1분 통화화고 끊으나 10시간 통화하나 가격은 동일했습니다. 전화 통화의 꿀 시대였죠. 당시에는 모뎀을 통해서 PC 통신을 하던 시대였는데 밤새 하이텔, 천리안을 해도 통화료는 동일했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오래 사용할수록 전화 통화료가 올라가게 되면서 PC 통신족은 멘붕이 옵니다. 실제로 저도 눈치 보면서 전화선을 이용해서 PC 통신을 하다가 등짝 스매싱을 많이 당했습니다.
매달 1만 원도 안 나오던 전화비가 3만 원 이상 나오니 그 원인 추적을 통해서 범인이 밝혀지고 전 등짝 스매싱을 맞았죠.
이에 중학생 앙마가 PC 통신 시장을 장악하고 전화료를 올린 대기업 앞에서 최초로 촛불을 들고 촛불 시위를 합니다.
이게 진짜일까요? 전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인데요. 나름 역사 덕후이고 많은 역사적 사건을 기억하고 있는데 이런 사실이 있었나?라는 생각을 하죠. 그때 영화 <댓글부대>는 이건 모두 사실이다라고 못을 박습니다.
헉~~~ 소리가 납니다. 영화가 이 모든 것이 사실이라고? 내가 모르는 이야기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이 영화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게 이 영화의 재미이자 재미없음을 동시에 유발합니다.
거짓과 진실의 적절한 배합이 100%의 거짓보다 더 큰 효과를 낸다
최초의 촛불 시위를 한 중학생 앙마라는 사실을 밝히면서 영화가 시작합니다. 그런데 위에서 소개한 앙마 이야기는 사실일까요? 사실인지 아닌지 영화를 보면서 알 수 없습니다. 검색해서 크로스체킹을 할 수 없는 정보 통제의 공간에서 우리는 영화를 보니까요. 넷플릭스 같은 OTT였다면 일시 정지 누르고 검색을 해서 체크해 봤겠죠.
그런데 영화관에서 스마트폰 켤 수 있나요? 흐름을 멈출 수 있나요? 못합니다. 우리의 삶처럼 일시정지도 바로바로 사실 확인을 할 수 없습니다. 또한 확인한다고 해도 거짓 정보가 진실로 둔갑해서 널리 유포된 상태라면 검증하기 어렵죠. 수많은 이야기들이 나중에 진실은 이렇다며 우리의 뒤통수를 때린 것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또한, 우리는 모든 정보를 바로바로 크로스 체킹을 통해서 진짜인지 아닌지 체크할 시간도 여력도 없고 남이 체크한 걸 그대로 믿죠. 예를 들어서 상당히 그럴싸한 이야기면 일단 믿음을 보냅니다. 이런 인간의 연약한 태도와 마음 가짐은 최근에 더 커지고 있습니다.
"거짓과 진실의 적절한 배합이 100%의 거짓보다 더 큰 효과를 낸다"
최근 우리 주변에 있는 그럴싸한 이야기들 우리가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이야기 중에 많은 수가 진실과 거짓을 섞은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진실도 있고 거짓도 있는 이야기 중에 어떤 것이 진실이고 거짓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다만 그 이야기 중 나도 아는 진실이 몇 개 보이면 그 이야기 전체를 믿어 버리죠. 이걸 이용해서 진실을 기반으로 거짓이라는 여론을 호도하는 이야기를 퍼트리는 사람들이 있죠.
영화 <댓글부대>는 이걸 보여주려고 합니다. 이 영화 속 이야기가 진짜일까요? 거짓일까요?라는 의문을 던지면서 시작하고 이 이야기가 전체 이야기입니다.
임상진 기자(손석구 분)의 내레이션으로 이 최초의 촛불 시위 이야기는 진짜라고 말합니다. 보통 영화 초반에 사실을 기반으로 한다, 허구입니다라고 밝힙니다. 그래야 영화 관객들이 그걸 인지하고 보게 해서 과몰입과 오해를 제거합니다. 따라서 영화가 사실이라고 시작하니 사실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보통 우리는 어떤 정보를 들으면 그 정보를 말하는 사람의 명성을 살펴보죠.
예를 들어서 어떤 사건이 일어났다는 정보를 인터넷 댓글로 보면 그걸 믿나요? 안 믿죠. 그런데 지상파 뉴스가 그것도 신뢰도가 높은 언론이 말하면 그걸 믿죠. 이렇게 우리는 신뢰 기반 사회에서 살고 있고 신뢰성 높은 사람이나 기관이나 언론사가 말하는 말은 찰떡 같이 믿습니다. 그게 가장 현명한 태도죠.
임상진 기자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을 피하기 위해서 대기업의 실제 이름 대신 만전 기업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모르시는 분들도 많겠지만 사실을 말해도 명예훼손으로 걸면 걸리는 나라가 한국입니다. 거짓을 말해서 명예를 훼손하는 것을 넘어서 사실을 말해도 명예훼손이 될 수 있는 기이한 나라에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함부로 특정 인물을 말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만 공익의 목적으로 비난했다고 하면 죄가 안 될 수도 있지만 고소를 당할 수 있죠.
그렇게 임상진 기자는 만전이 중소기업 기술을 훔쳐서 큰돈을 벌었다는 대기업 갑질 뉴스를 특종으로 내보내지만 연예인 마약 연루 사건으로 덮이는 가 했습니다. 그런데 그 중소기업 사장이 자살을 하면서 임상진 기자의 기사가 중소기업 사장을 죽였다는 이상한 여론 흐름으로 전환되고 임상진 기자는 휴직을 하게 됩니다.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죠. 이성을 놓은 광끼 어린 여론 호도에 휩쓸리는 사람들을 많이 봅니다.
그렇게 임상진 기자는 1년 넘게 복직하지 못하던 중 페이스북 메시지가 하나 옵니다.
자신이 만진 전자에서 여론을 조작하던 일을 했다고 주장하는 청년으로부터 그 중소기업 기술을 만진이 탈취했다는 것이 사실이었다고 듣습니다. 솔깃한 임상진 기자는 이 찻탓캇이라고 하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청년으로부터 여론 조작 이야기를 듣기 시작합니다.
영화는 닉네임이 팹택(홍경 분), 찻탓캇(김동희 분), 찡뻤킹(김성철 분)이라고 하는 3명의 청년이 수많은 여론 조작을 하는 과정을 듣습니다. 그리고 영화는 이야기를 확장하면서 만진의 여론 조작을 특종으로 밝히는 내용을 담는 듯합니다. 여기까지입니다. 더 이상 알면 다쳐가 아닌 재미가 없어집니다. 그런데 영화도 여기까지도 흥미로웠고 후반도 아~~~ 이렇게 되는구나 했고 신선하긴 했습니다만 동시에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쩌라고? 그래서 어쩌라는 거지? 그래서 뭐 사실과 거짓을 섞어서 만들어진 이야기를 믿지 말라고? 대형 커뮤니티 활동을 전혀 하지 않고 앞으로도 할 생각이 없는 저에게는 뭘 어쩌라는 소리인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사실 요즘 대형 커뮤니티들은 너무 정치적 성향이 강해졌습니다.
아니 컴퓨터 정보 커뮤니티가 왜 좌파 성향이 되고 축구 게임 커뮤니티가 왜 극우 성향을 보이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그냥 특정 정보만 나누면 될 것 같은데 특정 정치 성향을 선보입니다. 가장 이상한 대형 커뮤니티들이 있는데 좌익 성향에서 어느 날 보니 우익 성향으로 대 전환을 했더라고요. 이걸 보면서 이게 가능한가? 네이버가 갑자기 좌익 성향이 되는 것은 상상을 할 수 없고 다음이 우익 성향 포털로 변하는 걸 상상할 수 없잖아요. 그런데 대형 커뮤니티는 기세가 있는지 이게 가능한가 봅니다.
뭐 전 둘 다 특정 정치 세력 또는 성향에 편승하는 것은 편협한 사고방식을 유발할 수 있어서 대형 커뮤니티 활동을 전혀 안 하고 들여다보지도 않습니다.
댓글 부대에서 부대는 어디로 사라지고 변질된 이야기를 담았나? (약간의 스포가 있습니다)
이 단락은 약간의 스포가 있습니다. 따라서 보실 분은 다음 단락으로 넘어가세요.
영화 <댓글부대>는 제목에 부대가 들어가 있습니다. 이 부대가 영화에서 사라졌습니다. 댓글 조작 알바 이야기인데 이걸 왜 부대라는 이름이 들어가서 그 유명한 국정원 댓글 조작 사건의 냄새를 피울까 했습니다. 그래서 영화관에서 풀려난 후에 바로 검색을 해봤습니다.
이 영화 <댓글부대>는 원작 소설이 있습니다. 국정원 댓글 조작 사건을 모티브로 한 동아일보 출신의 소설가인 장강명 작가의 <댓글부대>입니다. 장강명 소설가의 소설을 몇 권 읽어 봤는데 어떤 책은 너무 재미있고 어떤 책은 너무 지루해서 이걸 왜 읽고 있나 할 정도로 들쑥 날쑥입니다.
공통적인 점은 현실 기반 소설이 꽤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현수동 빵집 삼국지>는 실제 이야기로 착각할 정도로 너무나도 현실적이라서 푹 빠져들게 합니다. 기자 출신이라서 그런지 실제 취재를 바탕으로 한 소설을 잘 씁니다. 원작 소설 <댓글 부대>는 국정원과 국방부라는 2개의 국으로 시작되는 대형 정부 부처가 대형 포털과 대형 커뮤니티에 침투해서 이명박 정권 및 박근혜, 문재인 대선에 개입한 천인공노할 사건을 담고 있습니다.
소설은 일베에서 활동하던 청년들이 진보 성향 대형 커뮤니티에 침투해서 갑자기 여론이 확 바꾸는 내용 등을 통해서 댓글부대의 활약상(?)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가 얼마나 이상한 세상에 살고 있고 거짓에 휘두르지 않으려면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지 마음 가짐을 다지게 하는 소설입니다.
그런데 왜 부대 이야기 대신 삼전이라는 기업 여론 조작으로 전환을 했는지 좀 이해가 안 가네요. 그럴 거면 차라리 영화 제목을 <댓글부대>가 아닌 <댓글>이라고 부대를 빼야죠. 3명의 청년이 부대라고 할 수 있나요? 이게 가장 큰 패착입니다. 원작 소설이 있기에 원작 소설을 그대로 담고 있고 원작 소설도 국정원 국방부 댓글 조작 사건을 모티브로 하지만 익명성을 바탕으로 한 여론 조작을 전체적으로 담았기에 감독의 잘못이나 제작자의 잘못은 아니고 원작 소설의 문제라고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영화가 부대 이야기는 전혀 없고 정치 여론 조작이 없어서 차라리 제목으로 인해 낚인 저 같은 관객은 뭔 소리를 하고 싶은 건지 하는 생각도 들게 하네요. 아마 총선 앞이고 정치적인 이야기를 거론하면 흥행에 부담이 될까 봐 대기업 여론 조작을 주요 타깃으로 삼은 것 같네요.
안국진 감독이 사회 비판적인 영화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나 <시> 제작부 등에 있어서 정치적인 색채를 얼마나 담을까 했는데 정치이야기는 1도 안 나옵니다.
무능한 언론들을 비판한 영화가 아닐까 하는 <댓글 부대>
배우들의 연기는 그냥저냥 그랬습니다. 엄청난 연기를 요구하는 영화도 아니고요. 다만 손석구의 연기는 좋긴 한데 여러 드라마에서 나온 손석구 이미지와 크게 다르지 않네요. 최근에 오픈한 <살인자 ㅇ난감>의 장난감 형사가 영화에 출연한 느낌이네요.
영화 <댓글부대>를 다 보고 나오면서 이런 생각이 강하게 들었습니다. 20년 전에 한 언론사의 OOO라는 기자가 있었습니다. 이 기자는 인터넷 커뮤니티를 하루 종일 살피다가 어그로 끌만한 이야기는 작성자와 통화나 메일이나 댓글로 연락도 안 하고 바로 기사화합니다. 보통 기사화 하려면 당사자와 통화를 하고 그게 사실인지 크로스체크를 해야 합니다. 2중 3중으로 해야죠. 그게 기사의 본분이자 사명감의 첫 단추입니다.
임상진 기자를 통해서 한국 기자들을 비판하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고 주인공이지만 상당히 무능하고 멍청한 기자라는 것을 영화는 철저히 숨기지만 다 보고 나서 드는 생각은 기자 임상진이 기자가 맞나? 저런 기자도 기자가 될 수 있는 나라인가 할 정도로 어떠한 크로스체크 노력을 안 합니다. 이게 맞다니까요! 이게 맞아요. 무대뽀 스타일에 다혈질과 피해망상증에 걸린 기자로 보입니다. 이걸 감독님이 노린 시선이라면 이는 아주 잘 그렸지만 이게 영화에 전면으로 나서는 모양새는 아닙니다. 왜냐하면 영화는 소설과 다르게 다른 이야기를 살짝 넣어서 임상진 기자에 대한 결기를 보여주고 끝나네요.
또 하나는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입니다. 세상은 고통과 환희가 동시에 존재하지만 고통을 줄이는 도구가 발달하면서 내가 듣고 싶은 이야기만 들을 수 있는 세상이 되었죠. 확증 편향을 가속화 시키는 SNS와 커뮤니티의 발달로 인해 혐오와 거짓말을 해도 믿고 따르는 사람들을 늘게 만들었고 이걸 이용하는 정치인이 늘고 있습니다. 영화가 이런 것을 좀 더 다루었으면 하는데 약간만 담는 것은 너무 아쉽고도 아쉽습니다. 그냥 기자와 제보자 이야기만 너무 집중을 하네요.
삼채도 그렇고 영화 <댓글부대>도 영화를 보고 나서 원작이 읽고 싶어 졌습니다. 원작이 그렇게 좋다는 소리도 많네요.
영화 <댓글부대>는 영리한 영화입니다. 사실과 거짓을 섞어서 관객을 혼동시키는 기만술이 아주 뛰어납니다. 다 보고 나서 이게 진짜야? 거짓이야? 궁금하게 되고 검색을 유발하게 됩니다. 영화관이라는 정보 통제의 공간에서 거짓과 진실을 같이 전하면서 관객의 마음을 요동치게 합니다.
이런 점은 좋지만 너무 얌전하고 안전하게 담으려고 하는 건 좀 아쉽네요. 영화에 대한 진실은 영화가 다 끝나고 스크롤이 다 올라오고 난 후에 2줄짜리 문장으로 담고 있습니다. 아쉬움이 있지만 볼만한 영화입니다.
별점 : ★ ★ ★
40자 평 : 거짓과 사실을 섞어서 말하면 진짜 진실 같아지는 마법 같은 사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