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메라사진/사진에관한글

로버트카파의 사진조작 논란, 어떤 사진들이 조작논란이 있었나?

by 썬도그 2009. 8. 19.
반응형
포털 다음 메인페이지를 보다가  로버트 카파의  어느 스페인 병사의 죽음이라는 사진이 또 조작 논라이 재연되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기사내용은 스페인 파이스 바스코 대학의 언론학 교수인 호세 마누엘 수스페레기는 자신의 저서 "사진의 그늘"에서 이 사진이 촬영된 장소가 당시 전투가 벌어진 곳이 아니라며 사진이 연출된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하네요. 

위의 사진은 로버트 카파에게 명성을 가져다준 최초의 사진입니다. 지금도 포토저널리즘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진이기도 하구요. 하지만 이 사진 수 없이 조작논란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때마다  로버트 카파는 조작이 아니라고 일축했었습니다. 
그리고 그가 죽은후에도 로버트 카파 에이전시는 극구 부인했었구요. 하지만 끊임없이 조작 논란이 있었습니다. 조작의 논란은 포토샵질 같은 사진 편집이 아닙니다.  문제는 사진설명이었죠.  로버트 카파는  돌격을 하다가 기관총에 맞아서 죽는 병사의 모습을  카메라로 담았다고 하는데  수시로 말을 바꿉니다. 어디에서는 저격수에 맞았다고 하고 어디서는 기관총에 맞았다고 하구요.

이 사진이 이렇게 논란이 있지만  카파가 죽었으니 진위를 알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이 사진의 설명이 가짜라고 해도 카파가 연출사진작가도 아닙니다. 2차대전시  가장 격렬했던 노르망디 오마하 해변에 유일하게 사진작가로 참가한 사람은 로버트 카파밖에 없고  마지막도 베트남과 프랑스군의 전쟁을 촬영하다가 지뢰를 밟고 죽었습니다. 

사진은 사진을 전달하는 훌륭한 매개체이고  범죄의 증거물인 포렌식수사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사진도 단점은 있습니다.  순간을 담고 그 설명을 담지 못하다 보니  사진만 보고 오해하는 사람도 곡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파리 시청앞에서의 키스는  연출사진
이 사진 많이들 보셨죠?  세계적인  사진작가인 로베르 드와노의 시청앞에서의 키스입니다.  이 사진만 보고서 어떤 생각이 드세요.  파리시청앞을 지나가는 낭만적인 파리지엥의 감미로운 연인의 키스라고 생각하겠죠?  역시 파리야!! 낭만적이네 하겠지만
이 사진은 연출사진입니다.  프랑스의 연극학교 학생 둘을 섭외해서 찍은 사진입니다.


로베르 드와노가 노천카페에서 앉아있고  두 젊은 남녀를 돈주고 사서 연출한 사진입니다.
그러나  로베르 드와노는 이런 사실을  숨겼습니다. 아니 적극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92년에 연출사진이었다고 실토했죠.  이 사진이 유명해진것은  80년대 중반 창고속에 보관중이던 사진을 우연히 포스터로 프린터하면서 유명해졌죠.
이 사실을 이제 아셨다면 좀 실망하셨을 것입니다.  드와노는 50년대 당시 아무리 파리라고 해도 길거리에서 키스하는 연인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고 합니다.  




 수병과 간호사의 키스

20세기 최고의 사진작가로 뽑히기도 했던 알프래드 아이젠스테트(Alfred Eisenstaedt)가 1945년 8월 14일
일본의 항복선언을 듣고 거리에 뛰쳐나온 인파들중에 격렬하게 키스하는 남,녀를 사진으로 담습니다.
이 사진도 보면  애인관계로 보이죠.  저렇게 격렬하게 키스하는데 대부분 사람들은 연인사이로 알것 입니다.
하지만 이 사진은 연출 사진은 아니지만  둘은 연인사이가 아닙니다. 

이디스 셰인라는 간호사는 뉴욕 지하철에서 나와 도로를 건너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흥분한 수병 하나가 자신을 획 하고 잡더니 기습 키스를 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성추행이죠.  간호사의 왼쪽 손을 보세요. 옷을 꽉 잡고 있죠. 저게 거부의 몸짓입니다.   아무리 흥분했다고 해도  여자의 동의도 없이 키스하면  범죄행위죠.   그러나 창피했던  간호사는 그냥 달아납니다.
그러나 이 사진은 다음날 라이프지에 대문짝 만하게 표지사진으로 실립니다.  이디스 셰인이라는 간호사는 너무나 창피했습니다.그리고 약 30년이 지난 70년대에 사진작가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임을 밝힙니다


그리고 수년전에  이 두 사람의 만남이 다시 있었습니다. 20세기 최고의 사진중 하나로 꼽히는 수병과 간호사의 키스, 승리의 키스
하지만 그 사진속 뒷이야기는 좀 씁쓸합니다.  



50년에도 포토샵이 있었다?
사진은 진실을 말하지만  거짓을 진실로 말하기도 합니다. 40,50년대는 사진을 정권을 찬양하기 위한 홍보수단으로 많이 사용했습니다.  프로파간다 사진이라고 하죠.  위의 사진은  스탈린의 사진인데  아래에 있던 사람이 위의 사진에는 없습니다. 이유는 
저 맨 오른쪽에 있는 사람이 숙청을 당했기 때문입니다. 어제의 동지가 적으로 변하자 사진속에서 파내버렸습니다. 


사진은 순간의 이미지이기 때문에 오해와 곡해가 많이 일어납니다. 동영상이라면 그런 오해가 별로 없죠.
우리는 때로  보고 싶은 쪽으로 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걸 잘만 이용하면  이미지 조작은 가능합니다.  
어느 의원이 3시간 내내 강연을 잘 듣다가  어느순간  하품을 한 순간 카메라 기자가 그 하품하는 순간을 찍어서  신문에 싣고
하품하는 의원이라고 하면 그 의원은  바로 국민들에게 욕을 먹죠.  때문에 사진은 찍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쉽게 변질 됩니다.

이게 사진의 단점이죠. 따라서 사진을 찍는 기자나 사진작가들은 어느 누구보다 양심적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도사진들은  사진을 찍는 카메라기장의 양심을 본인이 좌지우지하는게 아닌 데스크 편집장이 좌지우지 하기에
문제가 많이 발생합니다.  사진을 너무 맹신하면 안될것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