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영화창고

피부 아래 깃든 우리의 영혼을 관조적으로 담은 영화 '언더 더 스킨'

by 썬도그 2014. 12. 17.
반응형

단지 10cm도 안 되는 피부의 높낮이 차이가 전부인 세상이 되었습니다. 아무리 잘못을 했어도 예쁘면 용서가 됩니다.
그래서 강도를 했지만 얼굴이 예뻐서 화제가 된 중국의 '얼짱 강도'도 있었고 추악한 행동을 했지만 예쁘기 때문에 쉽게 용서하는 모습도 참 많습니다. 

같은 일을 해도 얼굴이 예쁜 여직원은 더 큰 칭찬을 받는 것이 현실입니다. 한국 최고의 코미디 프로그램인 '개그 콘서트'는 대놓고 예쁜 여자와 못생긴 여자를 비교하는 개그를 합니다. 단지 피부 두께의 차이일 뿐인데 단지 외모의 차이일 뿐인데 그 단지가 단지가 아닌 전부가 되어버렸습니다. 

 

제가 단정을 짓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실제로 한국 사회가 점점 몸을 숭배함을 넘어서 종교로 삼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4대 종교가 있다고 하죠.  불교, 기독교, 천도교 그리고 몸짱교. 몸이 종교이자 돈벌이입니다. 오늘도 중고등학생들이 전철역 앞에서 헬스클럽 전단지를 돌리고 있습니다. 

 

이제는 형식적으로도 얼굴이 아닌 마음이 고와야 한다는 말이 거의 들리지 않습니다. 이런 몸에 대한 탐닉을 외계인의 시선으로 비판한 영화가 바로 '언더 더 스킨'입니다.

 

외계인을 통한 인간을 낯설게 보기

언더 더 스킨

 

이 영화를 보게 된 계기는 이동진 영화평론가 때문입니다. 이동진의 2014년 외국영화 베스트

영화라는 글에서 무려 1위에 '언더 더 스킨'을 올려 놓고올려놓고 있습니다. 단지 이동진 평론가의 후한 평가 때문에 본 것만은 아닙니다.  모든 영화를 잘 까는 까칠한 프랑스 영화평론지인 '까이에 드 시네마'에서도 이 '언더 더 스킨'을 3위에 올려놓고 있습니다. 

무슨 영화 일까? 궁금해하며 영화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이 영화는 상당히 기이한 풍경으로 시작합니다. 거대한 우주선인 듯한 원형 비행체가 도킹을 하고 그 거대한 원은 동공으로 이어집니다. 이 동공 옆으로 지구인의 언어를 배우는 듯한 외계인의 목소리가 들립니다. 그런데 그 단어들이 흥미롭습니다. 느끼다. 영화, 호일, 실패, 여자들, 추락, 폭포, 울타리, 웅덩이, 세포. 이 단어들은 f로 시작되는 단어로 이 영화의 소재 및 주제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언더 더 스킨

이 영화를 난해하다고 느끼는 분들이 많은데 그 이유는 대사가 많지 않으면서도 많은 정보를 관객에게 전하지 않습니다. 최소한의 정보만 던져주고 대충의 줄거리만 보여줍니다. 그런데 그 줄거리라는 것도 아주 복잡하지 않습니다. 언더 더 스킨은 외계인의 시선으로 본 외로운 지구인을 관조하는 영화입니다. 


외계인 로라(스칼렛 요한슨 분)는 혼자 사는 남자들을 유혹해서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옵니다. 매혹적인 외모를 하고 있는 로라에 안 넘어가는 남자들이 없을 정도로 로라는 밴에서 길을 물어보는 척하면서 혼자 사는 남자인지 아닌지를 체크합니다. 
왜 혼자 사는 남자를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가는지는 관객의 몫입니다


제 생각에는 이 외계인들이 혼자 사는 남자를 선택한 이유는 외롭기 때문에 여성의 유혹에 잘 빠진 다는 것과 함께 그들이 사라져도 누구도 그들을 찾지 않는다는 것 같네요 외계인들은
로라를 이용해서 남자들을 납치하고 그 남자들의 피부만 남기고 피부 아래 있는 유기물들을 흡수합니다. 그걸로 연료로 만드는지 외계인에게 필요한 식량을 만드는지는 나오지 않습니다만 외계인들이 인간을 이용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줍니다. 외계인들은 이렇게 우리 주변에 있으면서 인간을 먹잇감 삼으면서 자신들의 목표를 잘 이행하고 있습니다.

언더 더 스킨

영화의 시선은 철저하게 로라에게 맞춰져 있습니다. 로라는 밴을 몰고 다니면서 목표물을 찾아 스코틀랜드 전역을 돌아다닙니다. 혼자 다니는 남자가 타깃이고 밴을 멈춘 후  길을 물어보면서 가족 관계나 고향등을 물으면서 인위적인 관계를 맺습니다. 그리고 외로워하는 남자가 있으면 차에 태우고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가서 처리를 합니다. 로라는 웃지 않습니다. 마치 사이보그 같은 표정을 하고 건조하고 효율적인 대사만 합니다.

 

이런 사이보그 또는 로봇 같은 연기를 '스칼렛 요한슨'은 아주 뛰어나게 잘합니다. 이렇게 수많은 남자를 아무런 죄책감 없이 꼬시지만 딱 한 사람에게서 죄책감과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야심한 밤에 대형마트로 가는 한 남자를 태웠는데 이 남자는 로라를 정면으로 바라보지 못하고 피합니다. 로라는 왜 그렇게 정면으로 보지 못하냐면서 채근을 합니다. 그렇게 로라를 바라본 남자는 흉측한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 얼굴 때문에 26살이 되어서도 친구도 여자친구도 없고 괴롭힘만 당합니다. 사람의 시선을 피하는 청년. 그러나 로라는 흉측한 청년의 얼굴에 개의치 않고 오히려 자신의 피부를 만져 보라면서 손을 끌어당깁니다. 청년에게 손이 참 예쁘다고 말하면서 로라는 처음으로 웃습니다. 냉혈한 같은 로라가 웃으면서 로라에게서 변화가 시작됩니다. 인간을 단순 먹잇감 또는 자원으로 보던 시선에서 인간의 따스한 성품을 느낍니다. 길에서 넘어지자 일으켜 세워주는 사람들 얇게 입고 산을 오르자 자신의 옷을 벗어주는 남자. 이런 따스한 성품의 사람을 만나면서 로라는 인간의 따스한 성품을 느끼게 됩니다. 


인간의 말초 신경을 비판한 영화 '언더 더 스킨'

 

이 영화가 뭘 말하는 건지 난감해하는 분들이 많고 해답을 찾지 못한 사람들은 흔히 그러듯 분노의 한숨을 넘어 욕을 합니다. 참 사람들 이상해요. 자기가 이해하지 못하고 답을 찾지 못하면 영화를 욕해요. 모르면 모르겠다, 느낀 게 없다면 느낀 게 없다고 끝을 내면 됩니다. 그런데 꼭 무슨 느낌을 받아야 한다는 강박이 있는 것 같습니다. 언더 더 스킨은 기이하고 기괴한 영상과 음악 때문에 잘 떠먹어지지가 않는 영화입니다.

 

저도 중간에 한 번 끊고 다음 날 겨우 다 봤습니다. 전 이 영화에 흐르는 음악이 정말 듣기 싫더군요. 그런데 영화는 생각보다 어렵다고 느껴지지는 않네요. 영화 마지막까지 보니 인간에 대한 따스한 시선보다는 인간이라는 표피 밑에 흐르는 잔혹성과 성욕에 쉽게 이끌리는 남성들을 비판하는 모습으로 보이네요. 앞에서는 따스한 성품을 보여주는 남자들이 같이 잠자리를 하기 위한 수작이었다는 내용은 불편하지만 현실을 제대로 담은 듯합니다. 성욕 없는 남자 없듯 대부분의 남자들이 기승 전잠자리로 이어지네요. 이 성욕은 시각에서 출발합니다


여자분들은 핀잔을 하지만 남자들은 시각에 몰빵한 동물입니다. 그래서 눈에 미녀가 들어오면 애인이 옆에 있어도 자신도 모르게 고개를 돌립니다. 
시각은 여성의 외모에 꽂히고 그 외모 밑에 흐르는 영혼을 보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영화 제목이 '언더 더 스킨'은  피부 밑에 있는 영혼의 부재된 삶에 대한 비판을 하는 듯합니다. 로라라는 뛰어난 외피를 쓴 외계인에 빠져드는 외로운 남자들. 앞에서는 신사인 척 하지만 몸을 탐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려집니다. 물론, 모든 남자가 그렇게 그려지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남자들이 여자를 대할 때 시각적 정보에만 의존하는 외모지상주의자로 보입니다. 

언더 더 스킨

웃겼던 것은 영화가 이런 인간들의 피부 위 세상인 말초적인 세상을 비판하고 있는데 7월, 그녀가 벗는다라는 문구를 포스터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언더 더 스킨은 관객 1만도 안 든 영화입니다. 한 마디로 쫄딱 망한 영화죠. 이 영화는 차라리 예술 영화 마니아 층을 건들렸어야 하는데 이렇게 무신경 아니 무책임한 문구를 사용해서 포스터를 만들었네요.

언더 더 스킨

여기에 언더 더 스ㅡ킨 노출 수위를 검색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뭐 세상은 각자의 시선으로 살기에 이런 행동을 비판할 수 없지만 저는 코미디로 보이네요. 영화는 최소한의 장치만 이용해서 우리의 삶을 낯설게 보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당연히 여기는 세상을 외계인이라는 다른 이의 시선으로 인간의 삶을 관조하고 있습니다. 많은 곳에서 극찬을 하는 영화지만 전 그냥 그렇더군요. 분명, 강한 메시지를 전하는 것 같지만 그렇다고 이 영화가 좋다고 느껴지지는 않네요. 스칼렛 요한슨의 연기에는 감탄하지만 스토리텔링 부분은 아쉽습니다. 영화 자체가 시각과 청각에 의존하는 영화라서 스토리가 복잡하지 않다고 하지만 어느 정도 더 보여줬으면 하는 생각도 듭니다. 자신의 껍질을 바라보는 로라의 모습이 잊히지 않네요. 이 껍질이 뭐라고~~ 하는 듯한 시선. 그 껍질 밑의 우리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요? 영화는 그 밑의 세상을 부정하는 디스토피아를 그리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