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건너온 소식/해외화제

톰과 제리? 고양이 무서워하지 않는쥐

by 썬도그 2007. 11. 8.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양이 무서워하지 않는 마우스


포유() 류가 천적의 냄새를 무서워하는 것은 위험한 눈을 당해 학습한 결과가 아니고, 선천적으로 후각(흡각)에 갖춰진 신경 회로의 기능에 의하는 것인 것을 도쿄 대학의 사카노 히토시 교수나 코바야카와고·특임조교외의 연구팀이 마우스의 실험으로 발견, 8 일자의 영과학잡지네이쳐전자판에 발표했다.

 이 회로를 부순 쥐는, 고양이나 여우의 냄새를 식별해도 무서워하지 않고, 도망가지 않았다.

  또, 이러한 냄새에 의한 위험의 판단은, 대뇌의 고차 기능을 담당하는 영역이 아니고, 코의 안쪽의 세포로부터 냄새의 정보를 최초로 받아들이는 「후구」라고 불리는 저다음의 부분에서 행해지고 있는 일도 판명.외계의 정보를 처리하는 뇌신경 회로의 구조 해명에 도움이 되는 성과라고 한다.

 팀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유전자 조작의 수법으로, 후구의 일부의 기능을 잃게 한 마우스를 만들었다.썩은 음식이나 천적의 여우가 냄새를 맡게 하면, 정상적인 마우스는 냄새로부터 도망치거나 움츠리거나 했지만, 유전자 조작한 마우스는 냄새를 식별하고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도망치지 않았다.

 팀은, 이 부위의 신경 회로에 위험을 판단해 도피 행동을 일으키는 구조가 유전적으로 프로그램 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사카노 교수는 「포유류의 뇌에서는, 유전적으로 짜넣어진 본능에 의한 판단 후에, 환경에 의한 학습 회로가 겹겹이 쌓이고 있을 것이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기사 출처 : www.iza.ne.jp/news/newsarticle/natnews/topics/98799/


사람은 후각이 약해서 공포를 느끼는것은 시각적인 학습효과에서 일어날듯 합니다.
또한 다른 포유류와 달리  유전적으로 공포를 느끼는 요소를 이어받지도 않을듯 하네요.

사람도 공포의 알고리즘을 깨는 방법을 알고 그걸 제어한다면  슈퍼군인도 만들겠는데요.
공포에 대한 아주 깊이 있는 만화가 생각나네요.  일본만화 드래곤헤드는 공포의 진수를 잘 묘사한듯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