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저출산5

주택 가격 상승이 출산율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한국의 저출산 문제는 심각함을 넘어서 국가 붕괴의 수준까지 떨어지고 있습니다. 2006년 한국의 출산율은 1.13명으로 OECD 평균 1.65명보다 낮았습니다. 이 당시에도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면서 저출산 대책을 엄청나게 내놓고 많은 예산을 투입해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했습니다. 그러나 2017년 한국의 출산율은 1.05까지 떨어졌습니다. 2명이 결혼해서 아이 1명만 낳고 있습니다. 이렇게 가면 인구는 급속도로 떨어질 겁니다. 여기에 결혼을 안 하는 비혼자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출산율은 OCED 하위권을 넘어서 전 세계에서도 꼴찌 수준입니다. 아기 울음소리가 사라진 나라는 미래가 밝을 수 없습니다. 저출산으로 인해서 여러가지 사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저출산 문제를.. 2018. 6. 13.
대학등록금, 실업률, 저출산의 연결고리 청와대에 반기를 들고 잔다르크 처럼 진군할 기세던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 겸 당대표가 청와대에서 조인트를 까였는지 연일 자신이 말한 것을 주워담고 있습니다. 반값등록금도 등록금 인하로 말을 바꾸었죠. 약간의 변화가 있을 줄 알았는데 여전히 한나라당은 청와대 거수기정당으로 다시 전락하네요. 한국의 큰 문제가 뭐가 있을까요? 살인적인 등록금도 문제겠지만 실업률도 참 문제입니다. 거기에 저출산도 문제고요. 결혼연령도 계속 높아가는데 초등학교 졸업식에 50대 부모님이 가는 일도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이 문제들은 전혀 연관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 연결이 되어 있는데요. 그 문제를 살펴볼께요 등록금 벌려고 휴학하는 대학생들 예전엔 대학교를 졸업하면 여자같은 경우는 23살에서 24살이었습니다. 남자같은 경우는 .. 2011. 6. 15.
여자는 집안일 시중만 들라고 하는 최시중 방통위원장 이명박 대통령의 멘토이자 최측근으로 오랜시간 주요요직인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시중 방통위원장이 이상한 발언을 했네요. 최시중 위원장은 8일 제주 서귀포칼호텔에서 한국의 저출산 대책과 언론의 역활이라고 하는 주제로 열린 2010 여기자 포럼에서 여성들은 육아와 가사에 전념해야 한다는 말을 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개념도 이렇게 개념이 없다요. 아무리 그것이 평소의 생각이라고 해도 여기자라는 전문지식인들 앞에서 조선시대 영감님 화법으로 영감스러운 말을 할 수 있나요? 조선시대처럼 여자들은 집에서 밥이나 하고 빨래나 하고 애기나 보는 존재로 보는 시선에서는 답답한 영감의 모습이 느껴집니다. 이런 논리라면 성범죄가 일어나는 이유가 여자들이 저녁늦게 까지 거리를 활보하기 때문이라는 논리와 뭐가 다.. 2010. 3. 20.
너무나 저렴한 이명박 정부의 저출산 대책 우리나라가 실질적으로 세계 최하의 저출산 국가라고 하는것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80년대 삼촌에게 이런 이야기를 들었던것이 기억이 나네요. 프랑스는 결혼도 잘 안하고 아기도 거의 안낳아서 1명이나 둘만 낳는다고 합니다. 혹은 아기 없이 지내는 부부도 많다구요 80년대만해도 보통은 3명정도의 아이를 가진 집들이 많았습니다. 생각해보면 내 또래의 친구들은 2명에서 3명 많으면 4.5명의 형제를 둔 친구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하나만 낳고 애를 더 이상 갖지 않는 부부들 참 많죠. 거기에 결혼 안하는 사람도 참 많습니다. 저출산은 국가 미래의 문제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국가의 인구가 줄면 미래성장동력의 엔진이 작아지게 되는 것 입니다. 대부분의 강대국들이 우리보다 인구가 많은것은 인구가 많으.. 2009. 11. 25.
오세훈시장의 오판! 지원보다는 극심한 경쟁도시 서울이 문제 80년대 삼촌에게 들은 이야기로는 프랑스는 우리같이 애를 많이 낳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동거도 인정받는 사회이구 선진국사회이다 보니 결혼에 대한 강박관념및 자녀를 꼭 가져야 한다는 개념이 없다고 설명해 주었습니다. 80년대만해도 우리 출산율 3명정도로 꽤 높았습니다 출처 통계청 덮어놓고 낳다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는 공익광고가 있을정도로 우리는 엄청난 출산율을 자랑했습니다. 외가쪽 삼촌과 이모를 합치면 어머니까지 해서 6명입니다. 그러나 50년대 전후로는 이 정도가 정상이었습니다. 애를 낳고 많이 죽기도 하고 죽는 아이들이 많아서 많이 낳았습니다. 또한 자식장사라고 해서 많이 낳은 풍토도 있었구요. 그리고 70년대 전후로 제2의 베이비붐이 일어났고 그 여파로 저 대입시험볼때 사상 최고의 경쟁률을 기록하더.. 2009. 9. 2.
반응형